젠지의 우승으로 끝난 LCK
롤드컵 나설 4팀 확정
2년 만에 우승 노린다

지난 2달간의 여정을 거친 2022 LCK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가 막을 내렸다. 스프링 리그에 이어 두 대회 연속으로 결승에서 만난 T1과 젠지의 결승 매치에서는 젠지가 3 대 0으로 완승하며 이전 대회 설욕과 더불어 국내 대회 최초의 우승을 거머쥐었다.
그러나 T1도 결승에 진출함으로써 오는 29일 개막하는 세계 최대 e스포츠 대회인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직행 티켓을 일찌감치 얻은 상태였다. 우리나라에게 주어진 4장의 출전 카드 중 나머지 2장의 카드는 지난 1~3일 LCK 대표 선발전에서 생존한 담원 기아와 DRX가 차지했다. 지난 대회 준우승팀인 담원은 결승전에서 중국에 무릎을 꿇으며 우승컵을 넘겨줘야만 했다. 이번 대회 역대급 라인업이라고 평가받는 한국 팀들의 전력 수준 어느 정도일까?
강력한 우승 후보 젠지
롤드컵 단골 손님 SKT T1
LCK 서머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당당히 1번 시드 자격으로 출전하는 젠지는 이번 롤드컵의 강력한 우승 후보다. 젠지는 2017년 롤드컵 우승팀인 삼성을 인수한 이후 2018년부터 LCK에서 활동하면서 롤드컵에도 진출했지만, 아직 우승 경력은 없다. 올해 코칭스태프와 선수들을 대거 물갈이 하며 LCK무관의 한을 풀었고 기세를 몰아 롤드컵 우승까지 노리고 있다. 한국 미드 3황 중 한 명인 쵸비와 ‘자타공인’ 원딜 1티어 룰러를 앞세워 이번 롤드컵 우승 확률이 가장 높은 팀으로 꼽히고 있다.
롤드컵 단골 우승 후보인 T1은 롤드컵 최다 우승팀이기도 하다. 하지만 15, 16시즌 연속 우승 이후 우승컵이 없다. 비록 결승전에서 완패당하긴 했지만, 스프링 리그 우승을 비롯해 백전노장 페이커와 캐리아, 오너, 구마유시 등 작년에 롤드컵을 모두 소화한 선수들이 건재해 전열을 가다듬는다면 팀 역사상 4번째 우승에 도전할 만한 전력이다.
작년 롤드컵 준우승 담원
막차 탄 다크호스 DRX

지난 시즌 아쉽게 롤드컵 준우승에 그친 담원은 최근 중국의 강세 속에서 정상에 선 바 있는 팀이다. 2018년부터 중국이 연이어 우승컵을 가져가고 있는데, 2020년 중국 팬들 앞에서 중국 팀을 물리치고 우승을 한 경험이 있다. 또한 올해까지 4년 연속 롤드컵에 진출한 유일한 한국 팀이기도 하다. 전력 또한 탑 너구리, 정글 캐니언, 미드 쇼메이커로 구성된 상체 조합은 세계 최고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변수는 롤드컵 경험이 없는 바텀 조합이긴 하지만 충분히 좋은 성과를 기대할 만하다.
4번 시드로 막차를 탄 DRX는 앞선 3팀보다는 전력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LCK 대표 선발전에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준 원딜 데프트와 서폿 베릴의 존재감이 크다. 이 둘의 롤드컵 경험만 합쳐도 무려 11회다. 전문가들은 경험 많은 베테랑들이 후배들을 이끌고 차분히 플레이한다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년 만에 왕좌 노리는 한국
중국의 아성을 넘어라

기존 리그 오브 레전드 최강국은 한국이었다. 그러나 유럽과 북미 등 다양한 국가의 실력이 상향 평준화가 됐고 특히 중국은 한국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면서 이제는 한국 팀과 맞먹는 실력을 갖추고 있다. 실제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 대회 중 3번을 우승할 정도로 급 성장한 상황. 이번 롤드컵 역시 한국 선수인 ‘중국 최고 미드라이너’ 바이퍼가 속한 EDG, ‘카나비’ 서진혁이 속한 징동과 중국 최고의 인기 팀 RNG등 중국 최고의 팀들도 롤드컵에 합류하면서 우승컵을 두고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롤드컵에 진출한 한국 대표 4팀은 역대 최강의 롤드컵 라인업을 꾸렸다는 평가가 많다. 작년에도 4팀 중 3팀이 4강에 오르며 기대를 모았지만, 중국에게 무릎을 꿇으며 더욱 아쉬움이 남았다. 올해야말로 설욕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 셈. 한편, 전 세계 24개 팀이 참가하는 2022년 롤드컵은 오는 29일 멕시코의 멕시코시티에서 개막해 11월 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승전이 진행된다.
중국 최고 미드라이너 바이퍼ㅋㅋㅋㅋㅋㅋ